오늘 돈 되는 정보, 내일 쌓이는 복리

돈 되는 절세, 돈 버는 뉴스 제공합니다.

  • 2025. 3. 14.

    by. money_insight

    목차

      주식 투자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주식 시장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 대상이 국내 주식인지 해외 주식인지에 따라 적용되는 세금이 달라지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국내 주식과 해외 주식 투자 시 발생하는 세금(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의 차이를 비교하고,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절세 방법을 소개합니다.

       

      국내 해외 주식 투자 세금 비교


      1. 국내 주식 vs. 해외 주식 세금 비교

      국내 및 해외 주식 투자에 적용되는 주요 세금은 양도소득세배당소득세입니다. 두 시장의 과세 체계를 표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국내 주식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비과세 (대주주 제외) 과세 (250만 원 공제 후 22%)
      배당소득세 15.4% 15~30% (국가별 상이, 미국은 15%)
      종합과세 여부 금융소득 2,000만 원 초과 시 종합과세 금융소득 2,000만 원 초과 시 종합과세
      손익통산 가능 여부 국내 주식 간 손익통산 가능 해외 주식 간 손익통산 가능 (국내 주식과는 불가)

       

      위 표에서 보듯이, 국내 주식은 대주주가 아니라면 양도소득세가 부과되지 않지만, 해외 주식은 양도 차익에 대해 세금이 부과됩니다.

       


      2. 국내 주식 투자 시 세금 구조

      ① 양도소득세

      • 비과세 대상: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는 주식을 매도해 차익을 얻더라도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음.
      • 과세 대상: 대주주 (연간 종목별 보유금액 10억 원 이상 보유 시)
        • 세율: 기본세율 (6~45%) 적용
        • 신고 방법: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② 배당소득세

      • 세율: 15.4% (배당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
      • 과세 방식: 배당금 지급 시 원천징수 후 지급됨.
      • 종합과세 여부: 배당소득 포함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하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 절세 방법: ISA 계좌 활용 시 200~400만 원까지 배당소득 비과세 가능.

       


      3. 해외 주식 투자 시 세금 구조

      ① 양도소득세

      • 기본 공제: 연간 250만 원 공제 후 과세.
      • 세율: 22% (양도 차익 - 250만 원) × 22%
      • 신고 방법: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

      💡 예시: 해외 주식 매매로 연간 1,000만 원 차익 발생 시

      • 과세 대상 금액: 1,000만 원 - 250만 원 = 750만 원
      • 양도소득세: 750만 원 × 22% = 165만 원 납부

      ② 배당소득세

      • 원천징수: 국가별로 상이 (미국 15%, 싱가포르 0%, 홍콩 0%)
      • 국내 과세: 해외 배당소득에도 국내 배당소득세(15.4%) 부과
      • 세액공제: 외국에서 낸 세금은 국내에서 공제 가능

      💡 예시: 미국 주식에서 배당금 100만 원을 받을 경우

      • 미국에서 원천징수: 15% (15만 원)
      • 국내 배당소득세: 15.4% (15.4만 원)
      • 세액공제 후 실질 부담: 15.4만 원 - 15만 원 = 0.4만 원

      👉 절세 방법: 해외 주식의 경우 세액공제 활용이 중요함.

       


      4. 국내 및 해외 주식 투자 시 절세 방법

      ① ISA 계좌 활용 (국내 주식)

      • 배당소득세 비과세 (200~400만 원)
      • 금융소득 종합과세 회피 가능

      ② 연금저축, IRP 계좌 활용 (국내 + 해외 주식)

      • 연금계좌를 통한 배당주 투자 시 배당소득세 과세 연기 가능
      • 연금 수령 시 낮은 세율(3.3~5.5%) 적용

      ③ 해외 주식 세액공제 적극 활용

      • 해외 배당세 납부 후 국내 세액공제 신청 필요
      • 미국 주식 배당세 15%를 공제받아 이중과세 방지

      ④ 손실을 활용한 절세 전략

      • 국내 주식과 해외 주식 간 손익통산 불가능 → 개별적으로 절세 전략 필요
      • 해외 주식에서 손실 발생 시 다른 해외 주식 이익과 상계 가능

      5. 결론 – 세금 고려한 투자 전략이 중요!

      국내 주식과 해외 주식의 세금 구조는 다르므로, 본인의 투자 전략에 맞게 절세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투자별 추천 전략

      • 국내 주식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활용하고 싶다면 ISA 계좌 활용
      • 해외 주식 투자 시 세액공제 신청을 통해 배당세 절감
      • 연금계좌를 활용한 배당주 투자로 세금 이연 및 절감 효과 극대화

      세금을 줄이면 실질적인 투자 수익률이 상승하므로, 투자 전에 반드시 세금 구조를 고려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은행이나 증권사에 문의하여 자신에게 맞는 계좌를 개설하셔서 일찍 투자를 시작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