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집을 살 때 내는 세금, 쉽게 알려드릴게요!
처음 집을 살 때 꼭 알아야 할 세금! 취득세, 등록면허세, 중개보수까지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려요.
✅ 왜 집을 사면 세금을 내야 하나요?
집은 값비싼 재산이에요. 이런 큰 재산을 사면 나라와 지방자치단체에 세금을 내야 해요. 이 세금은 도로를 만들고, 학교를 운영하고, 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쓰여요. 그래서 집을 살 때는 꼭 세금이 얼마나 드는지 알아야 해요!
📌 집을 살 때 내는 세금 3가지
- 취득세 – 집을 살 때 내는 기본 세금
- 등록면허세 – 집 주인 이름을 등기에 올릴 때
- 중개보수 – 공인중개사에게 주는 수수료
💡 예시로 쉽게 설명해볼게요!
서울에서 3억 원짜리 아파트를 샀다고 가정해볼게요.
- 취득세: 약 3.5% → 1,050만 원
- 등록면허세: 약 0.24% → 72만 원
- 중개보수: 최대 0.9% → 270만 원 (보통 반씩 부담)
총 세금 + 비용: 약 1,392만 원 정도 들어요.
📊 세금 정리 표
세금 이름 언제 내나요? 얼마나 내나요? 누가 내나요? 취득세 집 소유권을 넘겨받을 때 1.1% ~ 4.6% 구매자 등록면허세 등기소에 등록할 때 약 0.2% ~ 0.4% 구매자 중개보수 계약 마무리 시 최대 0.9% 구매자 & 판매자 🎁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라면? 세금이 깎일 수 있어요!
정부는 처음으로 집을 사는 사람을 위해 세금을 깎아주는 제도를 만들었어요. 이것을 취득세 감면이라고 해요.
✔ 감면 조건
- 본인 명의로 집을 처음 사는 경우
- 만 34세 이하 또는 신혼부부
- 집값이 수도권 3억 원 이하, 지방은 1.5억 원 이하
- 구입 후 3개월 이내 전입신고
💬 예를 들어, 원래 취득세가 1,000만 원이었다면 감면받아 500만 원만 낼 수도 있어요!
신청 방법: 지방세 인터넷 신고 또는 시청 방문 시 감면 신청서 제출
🙋 자주 묻는 질문
Q. 전세로 들어가도 세금이 있나요?
A. 전세는 집을 '사는 것'이 아니라 '빌리는 것'이기 때문에 취득세나 등록면허세는 없습니다. 다만, 고액 보증금이면 증여로 오해받을 수 있어요.
Q. 부모님이 집을 사주면 세금이 더 나오나요?
A. 부모님 돈으로 집을 사면 증여세 대상이 될 수 있어요. 미성년자는 2천만 원, 성인은 5천만 원까지는 면제되지만 그 이상은 신고해야 해요.
Q. 세금은 언제까지 내야 하나요?
A. 집을 산 후 60일 이내에 시청이나 구청에 신고하고 납부해야 해요.
🔎 요약 정리
- 집을 살 때는 취득세, 등록면허세, 중개보수가 필수!
- 전체 세금은 집값의 약 3~4%까지 나올 수 있어요.
-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는 반드시 감면 여부 확인!
📌 다음 편에서는 집을 가진 사람이 매년 내는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도 쉽게 알려드릴게요!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부동산 매매 절차 완벽 가이드|등기부터 확정일자까지, 매매 순서 한눈에 보기 (0) 2025.04.20 2025년 최신 부동산 세금 완벽 가이드 (0) 2025.04.20 대한민국 세금 종류와 체계, 이것만 보면 끝! (2025년 최신판) (0) 2025.04.19 연금저축계좌 수익률 높이는 ETF & 리츠 추천 5선 (0) 2025.04.18 연금계좌에서 수익률과 세금을 모두 잡는 ETF 포트폴리오 설계법 (0)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