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돈 되는 정보, 내일 쌓이는 복리

돈 되는 절세, 돈 버는 뉴스 제공합니다.

  • 2025. 4. 20.

    by. money_insight

    목차

      🏠 집을 살 때 내는 세금, 쉽게 알려드릴게요!

      처음 집을 살 때 꼭 알아야 할 세금! 취득세, 등록면허세, 중개보수까지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려요.

      ✅ 왜 집을 사면 세금을 내야 하나요?

      집은 값비싼 재산이에요. 이런 큰 재산을 사면 나라와 지방자치단체에 세금을 내야 해요. 이 세금은 도로를 만들고, 학교를 운영하고, 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쓰여요. 그래서 집을 살 때는 꼭 세금이 얼마나 드는지 알아야 해요!

      📌 집을 살 때 내는 세금 3가지

      1. 취득세 – 집을 살 때 내는 기본 세금
      2. 등록면허세 – 집 주인 이름을 등기에 올릴 때
      3. 중개보수 – 공인중개사에게 주는 수수료

      💡 예시로 쉽게 설명해볼게요!

      서울에서 3억 원짜리 아파트를 샀다고 가정해볼게요.

      • 취득세: 약 3.5% → 1,050만 원
      • 등록면허세: 약 0.24% → 72만 원
      • 중개보수: 최대 0.9% → 270만 원 (보통 반씩 부담)

      총 세금 + 비용: 약 1,392만 원 정도 들어요.

      📊 세금 정리 표

      세금 이름 언제 내나요? 얼마나 내나요? 누가 내나요?
      취득세 집 소유권을 넘겨받을 때 1.1% ~ 4.6% 구매자
      등록면허세 등기소에 등록할 때 약 0.2% ~ 0.4% 구매자
      중개보수 계약 마무리 시 최대 0.9% 구매자 & 판매자

      🎁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라면? 세금이 깎일 수 있어요!

      정부는 처음으로 집을 사는 사람을 위해 세금을 깎아주는 제도를 만들었어요. 이것을 취득세 감면이라고 해요.

      ✔ 감면 조건

      • 본인 명의로 집을 처음 사는 경우
      • 만 34세 이하 또는 신혼부부
      • 집값이 수도권 3억 원 이하, 지방은 1.5억 원 이하
      • 구입 후 3개월 이내 전입신고

      💬 예를 들어, 원래 취득세가 1,000만 원이었다면 감면받아 500만 원만 낼 수도 있어요!

      신청 방법: 지방세 인터넷 신고 또는 시청 방문 시 감면 신청서 제출

      🙋 자주 묻는 질문

      Q. 전세로 들어가도 세금이 있나요?

      A. 전세는 집을 '사는 것'이 아니라 '빌리는 것'이기 때문에 취득세나 등록면허세는 없습니다. 다만, 고액 보증금이면 증여로 오해받을 수 있어요.

      Q. 부모님이 집을 사주면 세금이 더 나오나요?

      A. 부모님 돈으로 집을 사면 증여세 대상이 될 수 있어요. 미성년자는 2천만 원, 성인은 5천만 원까지는 면제되지만 그 이상은 신고해야 해요.

      Q. 세금은 언제까지 내야 하나요?

      A. 집을 산 후 60일 이내에 시청이나 구청에 신고하고 납부해야 해요.

      🔎 요약 정리

      • 집을 살 때는 취득세, 등록면허세, 중개보수가 필수!
      • 전체 세금은 집값의 약 3~4%까지 나올 수 있어요.
      •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는 반드시 감면 여부 확인!

      📌 다음 편에서는 집을 가진 사람이 매년 내는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도 쉽게 알려드릴게요!

      출처: 행정안전부 지방세법, 국세청 세무 가이드, 2025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