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요약
2025년 5월 첫째 주는 국내외 금리 동결 기조와 인플레이션 안정 조짐, 그리고 AI 반도체 기대감이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한 주였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다"는 경고 메시지를 남겼고,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3.5%로 유지했습니다. 국내외 주식시장은 기술주 강세와 외국인 자금 유입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중국 경기 둔화 우려와 일본 엔화 약세, 중동 지정학적 긴장감 등은 여전히 주의 요소로 남아 있습니다.
📊 1. 주간 주요 주가지수 등락 정리
지수 주간 등락률 주간 마감 코스피 ▲+1.12% 2,727.45p 코스닥 ▼-0.46% 878.26p 나스닥 ▲+1.72% 15,335.78p S&P500 ▲+0.96% 5,098.74p 다우지수 ▲+0.35% 38,790.46p USD/KRW 환율 ▼-0.48% 1,361.20원 국제 금값 ▲+0.21% 2,319.4달러/온스 국제 유가(WTI) ▼-2.56% 77.99달러/배럴 🔍 요약 분석
- 코스피는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2,700선을 회복하며 상승 마감
- 코스닥은 IT 중소형주 조정으로 소폭 하락
- 미국 증시는 AI 실적 기대감과 Fed 금리 동결 효과로 강세
- 원달러 환율은 외국인 유입 증가로 하락(원화 강세 전환)
- 유가 하락은 원자재 관련 종목에 부담 요인
📌 2. 국내 주요 경제 뉴스
🔹 한국은행, 기준금리 3.5% 동결
5월 2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3.5%로 유지하며 "물가상승률이 점차 둔화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실제로 4월 소비자물가는 2.4% 상승, 전월 대비 둔화세를 보이며 시장에 인플레 안정 기대감을 형성했습니다.
"당분간 금리 인하보다 인플레이션 안정을 지켜보겠다" – 이창용 총재
🔹 외국인 자금 유입 → 코스피 상승 주도
주중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 2,400억 원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AI 관련 반도체주(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에서 강한 매수세를 보였습니다.
🔹 1분기 실적 발표 시작, 양극화 뚜렷
삼성전자는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한 영업이익을 발표했으며, SK하이닉스는 흑자 전환 기대감에 주가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반면 2차전지·자동차주는 실적 부진과 경쟁 심화로 조정을 받았습니다.
🌍 3. 글로벌 경제 뉴스
🔸 미국 FOMC, 기준금리 5.25~5.50% 유지
5월 1일 FOMC 회의에서 연준은 예상대로 금리를 동결했습니다. 그러나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현재의 인플레이션 수준은 금리 인하를 뒷받침하지 않는다"고 밝혀, 시장은 연내 금리 인하 기대를 낮추는 분위기로 전환되었습니다.
🔸 중국 제조업 PMI 50.4로 반등…그러나 회복은 불확실
중국의 4월 제조업 PMI는 50.4로 반등하며 경기 바닥론에 힘을 실었으나, 민간 소비 회복과 부동산 침체로 인해 지속적인 회복세는 미지수입니다.
🔸 일본 엔화 약세 지속
엔화는 달러당 159.3엔까지 하락하며 아시아 통화시장 전체의 불안정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이는 원화에도 영향을 미치며 수출기업 실적 기대를 자극했습니다.
🧠 4. 산업 및 테마 이슈
✅ AI 반도체 기대감 지속
NVIDIA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AI 서버 수요 증가 전망이 다시 힘을 얻고 있으며, 국내 반도체 대형주가 이에 동조 상승했습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외에도 한미반도체, 아비코전자 등 관련 중소형주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 2차전지·전기차 관련주 조정
테슬라가 중국 시장 가격 인하를 단행하면서 국내 배터리업체들의 수익성에 대한 우려가 반영되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비엠 등은 주간 기준 약 3~5% 하락했습니다.
📉 원자재 시장 혼조
- 국제 유가 하락: 미국 원유 재고 증가, 중동 긴장 완화
- 금값 소폭 상승: 안전자산 선호 지속
📌 5. 경제 지표와 전망 포인트
지표 수치 의미 소비자물가상승률(4월) 2.4% 인플레 완화 신호, 금리 인하 여지는 여전 실업률(3월) 3.0% 완만한 고용 회복 지속 무역수지(4월) +37억달러 수출 회복세, 반도체 수출 개선 기업실적 양극화 반도체 실적 개선, 2차전지 부진
🎯 6. 다음 주 투자자 포인트
- 미국 4월 CPI 발표 예정(5/15): 금리 방향에 직접 영향
- NVIDIA 실적 발표(5/22 예정): 국내 AI 반도체 수급과 연동될 전망
- 엔화·환율 변동성 지속 주의: 외환시장 급변 가능성
- 국내 실적 시즌 후반부 진입: 실적 발표 종목 주의 깊게 관찰 필요
📝 결론 및 투자자 행동 제안 (Call to Action)
이번 주는 **금리 동결과 인플레이션 안정이라는 ‘낙관적 프레임’**이 시장을 견인했지만, 미국 금리 인하 기대 축소와 중국·일본의 경제 불안 요인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 보수적 접근 + 테마 선별적 진입 전략이 유효한 시점입니다.
- AI 반도체, IT 대형주: 모멘텀 지속 기대
- 2차전지, 전기차 관련주: 단기 반등보다 리스크 관리 우선
- 환율, 원자재 가격 변화에 따라 수출기업 대응 필요
📌 이번 주 주요 지표 캘린더와 개별 종목 수급 분석은 다음 주 경제리뷰에서 이어집니다.
'주간 경제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5월 3주차 주간 경제 리뷰-경제 지표 중심의 글로벌 및 국내 시장 정리 (0) 2025.05.24 📊 2025년 5월 2주차 주간 경제 리뷰: 글로벌 금리 긴장, 환율 급등, AI 기술주 주가 흐름 분석 (0) 2025.05.18 2025년 4월 마지막주 – 기술주 반등 주도, 韓 코스피 강보합…FOMC 발언과 실적시즌 주목 (0) 2025.05.03 2025년 4월 4주차 주간 경제 리뷰: 미국 연준 금리 동향, 기술주 실적, 한국 수출 회복, 글로벌 증시 전망 (0) 2025.04.27 2025년 4월 3주차 글로벌 증시 및 경제 요약: 3대 지수 모두 하락…금리 인하 신호 아직 (0)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