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요약문
2025년 5월 셋째 주 글로벌 경제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와 한국의 수출입 동향, 환율 급등, 부동산 시장 반등 등의 이슈 속에서 방향성을 탐색했습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미국 및 국내 증시 흐름과 함께, 주요 경제 지표와 정책 변화가 시장과 실물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중심적으로 정리합니다.
1. 🇺🇸 미국 증시 요약 – CPI 발표 이후 기술주 주도 상승
- S&P 500: 주간 +1.5% 상승
- 나스닥: 주간 +2.1% 상승
- 다우존스: 보합권 혼조
미국 증시는 5월 15일 발표된 4월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0.3% 상승, 연율 3.4%로 시장 예상치(3.4%)에 부합하며 안도랠리를 펼쳤습니다.
기술주, 특히 AI 반도체 관련주(Nvidia, AMD 등) 가 시장을 주도했습니다.
2. 🇰🇷 국내 증시 요약 – 외국인 이탈과 환율 불안
- 코스피: 주간 -0.4% 하락, 2,720선 약세
- 코스닥: 주간 -1.1% 하락
- 원/달러 환율: 일시적으로 1,384원까지 상승
국내 증시는 외국인 매도세와 높은 원/달러 환율 부담으로 상대적으로 부진했습니다.
특히 환율 상승이 수입 원가 상승으로 이어지며, 기업 이익에 대한 우려가 커졌습니다.
3. 이번 주 발표된 주요 경제 지표 분석
🔹 미국 4월 CPI (5/15 발표)
- 전년 동기 대비 +3.4%
- 근원 CPI(에너지·식료품 제외): +3.6%
🔍 의미: 물가 안정 추세 확인 → 연준의 금리 동결 시사 강화
※ 연준 인하 시점은 여전히 "하반기 가능성"에 머무름
🔹 한국 5월 1~10일 수출입 동향
- 수출: 전년 대비 +13.8% 증가
- 수입: +6.5% 증가
- 무역수지: 12개월 연속 흑자
🔍 반도체 수출이 회복세를 주도했으며, 대중국 수출도 개선세
→ 무역 회복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음
🔹 한국 4월 고용동향
- 취업자 수 증가폭 26.8만명
- 실업률 2.9%
🔍 고용은 양호하나, 청년층 실업률과 서비스업 고용 정체는 불안요소
→ 정책적 유연성 필요
4. 글로벌 경제 흐름 요약
🇺🇸 미국
- 연준 인사 다수 “인하 서두르지 않겠다” 발언
- 실업수당 청구건수 증가로 일부 경기 둔화 신호
🇨🇳 중국
- 인민은행, 추가 유동성 공급 시사
- 소비 회복세 미진, 내수 부양 카드 검토
🌍 기타
- 국제유가 Brent 기준 83달러 내외
- 금 가격 온스당 2,380달러 수준 유지
5. 국내 주요 경제 변화
📌 환율 급등
- 원/달러 환율 1,380원대 진입
- 외환당국 개입 가능성 시사
- 기업 수입원가 압박 및 외국인 이탈 우려
📌 부동산 시장
- 서울 아파트 거래량 회복세 지속
- 4월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0.2% 상승
→ 저금리 기대감, 전세 회복 영향
📌 물가/소비
- 4월 소비자물가지수 +2.8%
- 식재료, 외식비, 가공식품 물가 여전히 강세
6. 요약 및 다음 주 일정 체크포인트
🧾 요약 정리
- 미국 CPI는 예상에 부합 → 연준 인하 기대 재점화
- 국내 수출 회복, 무역수지 개선은 긍정적 흐름
- 원/달러 환율 불안, 외국인 자금 흐름 주시 필요
- 부동산과 소비, 고용은 부분적으로 회복 조짐
📅 다음 주 주요 일정
날짜 내용 5월 22일 엔비디아 실적 발표 (미 증시 영향 예상) 5월 23일 한국은행 기준금리 결정 5월 25일 OECD 경기선행지수 발표 예정 '주간 경제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5월 마지막주 주간 경제 리뷰 (0) 2025.06.01 📊 2025년 5월 2주차 주간 경제 리뷰: 글로벌 금리 긴장, 환율 급등, AI 기술주 주가 흐름 분석 (0) 2025.05.18 📰 2025년 5월 1주차 주간 경제 리뷰: 금리·물가 안정 기대 속 AI 수혜주 강세 (0) 2025.05.10 2025년 4월 마지막주 – 기술주 반등 주도, 韓 코스피 강보합…FOMC 발언과 실적시즌 주목 (0) 2025.05.03 2025년 4월 4주차 주간 경제 리뷰: 미국 연준 금리 동향, 기술주 실적, 한국 수출 회복, 글로벌 증시 전망 (0)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