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할 때 가장 큰 부담은 증여세입니다. 하지만 합법적인 절세 전략을 활용하면 증여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녀에게 증여할 때 절세하는 방법과 주의해야 할 사항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증여세 기본 개념
✅ 증여세란?
증여세는 타인에게 무상으로 재산을 받았을 때 부과되는 세금으로, 수증자(받는 사람)가 납부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증여세율은 구간별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 증여세율 (2025년 기준)
과세표준 (증여 금액) 세율 누진공제 1억 원 이하 10% 없음 1억 ~ 5억 원 20% 1,000만 원 5억 ~ 10억 원 30% 6,000만 원 10억 ~ 30억 원 40% 1억 6,000만 원 30억 원 초과 50% 4억 6,000만 원 예시) 2억 원을 증여받으면 (2억 × 20%) - 1,000만 원 = 3,000만 원의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2. 증여세 절세 방법
📌 1) 증여 공제 한도를 활용하기
증여 공제 한도를 활용하면 일정 금액까지는 증여세 없이 재산을 이전할 수 있습니다.
✅ 증여 공제 한도 (2025년 기준)
- 부모 → 자녀: 10년간 5천만 원까지 비과세
- 조부모 → 손자녀: 10년간 2천만 원까지 비과세
- 배우자 간 증여: 10년간 6억 원까지 비과세
예시) 부모가 자녀에게 매년 5천만 원씩 10년 동안 증여하면 총 5억 원을 증여세 없이 이전할 수 있습니다.
📌 2) 미성년 자녀와 성년 자녀의 차이 활용하기
- 미성년 자녀는 증여세 공제 한도가 2천만 원이므로, 성년(만 19세 이상)이 된 후 증여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예시) 15세 자녀에게 5천만 원을 증여하면 3천만 원이 과세 대상이지만, 19세 이후 증여하면 전액 비과세됩니다.
📌 3) 부동산 증여 시 취득세 고려하기
- 자녀에게 부동산을 증여할 때 취득세(3.5%~12%)가 발생합니다.
- 5억 원 이하 주택은 3.5%, 5억 원 초과 시 12%까지 올라가므로 신중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 부모가 보유한 부동산을 양도세 절감 효과가 있는 시점에 증여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4) 금융자산 증여 시 절세 전략
- 증여한 금융자산(예금, 주식 등)에서 발생한 이자·배당소득은 증여자의 소득으로 간주됩니다.
- 따라서 미성년 자녀에게 고배당 주식을 증여하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될 위험이 있으므로 연금보험, ETF, 장기채권 등의 상품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5) 부담부증여 활용하기
- 부담부증여란, 재산을 증여하면서 해당 재산에 대한 채무도 함께 이전하는 방식입니다.
- 예시) 시가 5억 원의 부동산에 대출 3억 원이 있는 경우, 순자산 2억 원만 증여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 세금 절감 효과: 증여세를 줄이는 동시에, 양도소득세를 부담부증여 방식으로 처리하여 세부담을 분산할 수 있습니다.
3. 증여세 신고 및 주의사항
✅ 증여세 신고 기한
증여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관할 세무서에 신고해야 합니다.
✅ 증여 신고 시 감면 혜택
- 증여세 신고를 기한 내에 하면 세액공제 3%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기한 내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최대 40%)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 자금출처조사 대비
- 국세청은 미성년 자녀의 금융자산 증가, 부모가 자녀 명의로 고가 부동산 취득 등의 경우 자금 출처를 조사합니다.
- 자녀 명의 계좌로 입금하는 경우, 증여세 신고를 반드시 해야 합니다.
4. 결론 – 증여세 절세 전략 핵심 정리
✅ 증여 공제 한도를 최대한 활용 (10년 단위로 5천만 원씩 증여) ✅ 부동산 증여 시 취득세 및 양도세 고려 (대출 있는 부담부증여 활용) ✅ 미성년보다는 성년 이후 증여가 유리 (공제 한도 차이 활용) ✅ 자금 출처 조사를 대비하여 증여세 신고 철저히 ✅ 부모의 금융자산 증여 시 금융소득종합과세 여부 확인
증여는 단순히 자산을 이전하는 것이 아니라, 세금까지 고려한 전략적 계획이 필요합니다. 위에서 소개한 절세 방법을 활용하여 불필요한 세금을 피하고, 합법적으로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하는 방법을 고려해 보세요!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주택자&다주택자의 양도세 절세전략 (0) 2025.03.22 다주택자의 필수 절세 전략! 종부세·양도세·취득세 폭탄 피하는 법 (0) 2025.03.21 디지털 노마드 필독! 세금 신고 실수 없이 절세하는 법 (0) 2025.03.20 은퇴 후 세금 줄이는 방법 –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의 최적 조합 (0) 2025.03.20 고소득자의 절세 전략 – 금융상품을 활용한 합법적 절세 방법 (0) 2025.03.20